시사.문화의 門/베가

[스크랩] * Vegas 7.0

항상1004님과함께 2016. 12. 26. 08:44

* Vegas 7.0

Vegas_7.hwp (23kb)

Vegas_7-2.hwp (24kb)

Vegas_7-3.hwp (28kb)
Vegas_7-4.hwp (23kb)
비디오FX_살펴보기.hwp (65kb)
flv_파일에_대해서.hwp (22kb)
스위시맥스와_동영상링크.hw... (279kb)

스위시맥스와_동영상링크2.h... (21kb)
스위시맥스와_동영상링크3.h... (28kb)

강아지_캐릭터.psd (763kb)

엔딩.txt (0kb)

 

* Vegas 7.0

 

- 동영상 파일 편집프로그램으로 기본적인 편집 기능 및 동영상 파일의 형식 변환, 동영상 파일의 용량 줄이기를 할 수 있으며 사운드 녹음하기, 오디오 시디에서 파일을 가져와 mp3로 만들기 등 사운드에 관련된 여러 가지 작업도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또한 강력한 이펙트와 트랜지션을 내장하고 있어 다양한 영상을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1. 설치방법

① Microsoft.NET Framework 2.0 폴더의 dotnetfx를 설치한다.

2

 

 3

 4

 5

 6

 

② Microsoft.NET Framework 2.0 Service Pack 1의 NETCFSetupv2를 설치한다.

 7

 8

 9

 10

 11

 12

 13

③ vegas70d-trial_enu를 설치한다.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④ keygen을 이용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25

 26

 

2. 환경설정

① 바탕화면의 Vegas 7.0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더블클릭하여 실행한다.

27

 28-BuyNow(Click)

 29-Purchase via phone(Click)

 

 30-위[...](복사)-아래[..](붙여넣기)-Submit(Click)

 31-[확인](누름)

 32

 33-[확인](누름)

 34-Vegas 7.0(생성)

 

② 창이 나오면 Yes를 클릭 한다.

③ 메뉴표시줄-View-Window Layouts-Load Default Layout을 클릭 한다.

 

④ 메뉴표시줄-Options-Preferences-General에서 Enable Media Manager (requires restart)를 체크를 풀어 준다.

 37-Options-Preferences-General에서 Enable Media Manager (requires restart)를 체크를 풀어 준다.

 38-Options-Preferences-General에서 Automaticaly open last project on startup를 체크를 풀어 준다.

백업 해제

 

3. 동영상파일 가져와서 편집하기

-show(실행)-동영상 파일(열기)-ASF로(변환)

 

① 메뉴표시줄-File-Open을 클릭하여 동영상[asf]파일을 가져온다.

 

② 영상 자르기, 삭제, 잘라내기, 복사, 붙여넣기 등의 기본적인 편집 작업을 한다.

③ 페이드 인/아웃 작업과 트랜지션을 한다.

④ 전체 렌더링/부분 렌더링을 한다.

⑤ veg파일로 저장한다.

 

4. SwishMax2의 swf파일을 베가스로 가져오기

① SwishMax2를 실행하여 간단한 텍스트 애니메이션 작업을 한다.

② swf파일로 저장한다.

③ 베가스에서 swf파일을 가져온다.

 

5. Xara 3D6의 avi파일을 베가스로 가져오기

① Xara 3D6을 실행하여 낙관(인장)을 만든다.

② avi파일로 저장한다.

③ 베가스에서 avi파일을 가져온다.

 

 

6. 베가스 지우고 다시 설치하기(제어판-프로그램 추가/제거를 클릭한다)

① Microsoft.NET Compact Framework 2.0 SP1을 지운다.

② Microsoft.NET Framework 2.0을 지운다.

③ Microsoft SQL Server Desktop Engine (SONY_MEDIAMGR)을 지운다.

④ Sony Media Manager 2.2를 지운다.

⑤ Sony Sound Forge 8.0d를 지운다.

⑥ 로컬디스크 C-Program Files-Sony-Vegas 폴더를 지운다.

⑦ 로컬디스크 C-Program Files-Son Setup-Vegas 폴더를 지운다.

⑧ 위의 과정을 마친 후 베가스를 다시 설치한다.

 

* Vegas 7.0 - 2

 

* 베가스에서 동영상 편집하기

① 베가스 인터페이스 용어 및 명칭

- 메뉴표시줄

도구모음(Toolbar)

시간표시 마커표시줄(마커)

트랙목록 시간표시(눈금자)

타임라인(트랙 보기)

구동컨트롤(트랜스포트)

창영역 믹서창 미리보기창

② 편집할 동영상파일 가져오기

- 메뉴표시줄 - File - Open을 클릭하여 편집할 동영상 파일을 가져온다.

- 창영역 Explorer에서 편집할 동영상 파일을 드래그 하여 가져온다.

 

③ 타임라인 영역의 확대/축소하기

- 동영상 파일에서 마우스 휠을 밀면 확대된다.

- 동영상 파일에서 마우스 휠을 당기면 축소된다.

- 시간표시 부분의 초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여 확대/축소한다.

- 동영상 파일을 확대하여 작업할 때는 현재 보이는 타임라인 영역을 넘어가지 않게 한다.

④ 동영상 자르기, 삭제, 잘라내기, 복사하기, 붙여넣기 등의 기본적인 편집 작업하기

- 자르기 : 자르고자 하는 곳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Edit - Split를 클릭한다.(단축키 S)

- 삭 제 : 삭제하고자 하는 동영상을 클릭한 후 마우스 우클릭 - Delete를 클릭한다.

- 잘라내기 : 잘라내고자 하는 동영상을 클릭한 후 마우스 우클릭 - Cut을 클릭한다.

- 복사하기 : 복사하고자 하는 동영상을 클릭한 후 마우스 우클릭 - Copy를 클릭한다.

- 붙여넣기 : 붙여넣기 하고자 하는 곳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마우스 우클릭 - Paste를 클릭한다.

⑤ 페이드 인/아웃 효과와 트랜지션 효과 적용하기

- 페이드 인/아웃 효과 적용하기 : 동영상의 좌우측 윗부분에 작은 삼각형모양의 표시부분을 좌우로 드래그하면 페이드 인/아웃 효과가 적용된다.(사운드 부분도 동일하다)

- 트랜지션 효과 적용하기 : 동영상 자르기를 한 후 두 동영상을 드래그 하여 겹친다. 창 영역 부분에 Transitions에서 원하는 효과를 드래그하여 적용한다.

 

⑥ 전체 렌더링/부분 렌더링하기(File - Render as)

- 동영상을 편집 작업한 전체를 렌더링하는 것을 전체 렌더링이라고 한다.

- 동영상을 편집 작업한 것 중 부분만 렌더링하는 것을 부분 렌더링이라고 한다.

부분 렌더링을 할 때는 마커표시줄의 마커를 이용한다.

 

 

⑦ veg파일로 저장하기(File - Save as)

- 베가스의 편집용 파일 형식인 veg 파일로 저장할 때는 동영상은 저장이 되지 않고, 경로만 저장된다. 즉 베가스의 작업 환경만 저장이 되는 것이다.

 

 6-2

 

* Vegas 7.0 - 3

 

* 베가스에서 작품 만들기(강아지 동영상)

1. 포토샵 작업(캐릭터가 있는 동영상배경 만들기)

① 포토샵을 실행시키고, File - New를 클릭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Width : 800 pixels, Height : 600 pixels, Resolution : 72 pixels/inch,

Color Mode : RGB Color 8bit, Background Contents : Transparent

② Layers 팔레트에서 아래 아이콘 중 우측에서 2번째를 클릭한다.(Create a new layer)

③ Select - All을 클릭한다.

④ Edit - Fill - Contents - Use - Color를 클릭한다. 원하는 색상을 클릭한다.(파란색)

 

⑤ Select - Deselect를 클릭한다.

⑥ Tools에서 원형선택툴을 클릭한다. Options에서 Feather의 값을 100으로 입력한다.

⑦ 작업창에서 Shift+Alt를 누르고, 정중앙에서부터 바깥으로 드래그한다.(넓게)

⑧ 키보드의 Delete키를 누른다.

⑨ 강아지 캐릭터 파일을 가져와서 선택툴로 캐릭터를 드래그하여 선택한 후 무브툴로 선택된 캐릭터를 드래그하여 배경만드는 작업창에 떨어뜨린다. 강아지 캐릭터를 우측위 부분을 제외하고(낙관이 들어갈 자리) 적절히 위치한다.(6개 정도)

□ Auto Select Layer(체크)-

 

-사각(선택)-이동 할 케릭터(드래그-(선택)-Move Tool(선택)-드래그(이동)

 

 

 

⑩ File - Save as를 클릭하여 본인폴더에 PSD로 저장한다.(이름 : 동영상배경)

  

2. 스위시맥스2 작업(동영상 제목타이틀 만들기, 동영상 엔딩크레딧 만들기)

- 동영상 제목타이틀 만들기

 

① 스위시맥스2를 실행시키고, Properties 패널 - Movie Properties를 클릭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Background color : 검정색, Width : 800, Height : 600, Frame rate : 15,

Export Settings for Movie : SWF 5

② Tools의 텍스트툴을 선택하여 Stage에 클릭한 후 Properties 패널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글자모양 : Arial, 글자크기 : 150, 글자색 : 흰색, 스타일 : B, 내용 : Vegas 7.0

③ Transform 패널에서 O=X를 클릭하고, 앵커포인트를 정가운데로 한다.

④ Align 패널에서 Align Horizontal Center/Align Vertical Center를 클릭한다.

⑤ Timeline 패널의 텍스트개체 1프레임에서 마우스 우클릭 - Appear into position - 3D Spin in and grow를 클릭한다. 프레임의 길이를 30으로 한다.

 

⑥ Timeline 패널의 텍스트개체 31프레임에서마우스 우클릭 - Appear into position - 3D Spin in and shrink를 클릭한다. 프레임의 길이를 30으로 한다.

⑦ File - Export - SWF를 클릭하여 저장한다. (동영상 제목타이틀)

 

-동영상 엔딩크레딧 만들기

 엔딩크레딧

 

첨부파일 엔딩크레딧.swf

 

① File - New를 클릭한다.

② Properties 패널 - Movie Properties를 클릭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Background color : 검정색, Width : 800, Height : 600, Frame rate : 20,

Export Settings for Movie : SWF 5

③ Tools의 텍스트툴을 선택하여 Stage에 클릭한 후 Properties 패널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글자모양 : HY견고딕, 글자크기 : 48, 글자색 : 흰색, 내용 : 복사한다.

④ Transform 패널에서 O=X를 클릭하고, 앵커포인트를 정가운데로 한다.

⑤ Align 패널에서 Align Horizontal Center/Align Vertical Center를 클릭한다.

⑥ View 옵션에서 Zoom Factor를 33%로 한다.

⑦ Stage에서 타이틀의 위치를 Stage 아래로 한다.

⑧ Timeline패널의 텍스트개체의 600프레임을 더블클릭한다.

⑨ Stage에서 Selection 툴로 텍스트를 Stage 위로 드래그 한다.

⑩ File - Export - SWF를 클릭하여 저장한다. (동영상 엔딩크레딧)

스위시 백업해제

  

3. 자라3D6 작업(낙관만들기)

 

 

① 자라3D6을 실행시키고, Options toolbar의 Text options을 클릭한다

② Text options 창에서 기존의 내용을 지우고, 본인 이름을 입력하고 한자로 바꾼다.

③ Option bar에서 Design options을 클릭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Design type : Border, Design shape : Rectangle, Stretch : 120%,

Border width : 50, Size : 90

④ Option bar에서 Animation options을 클릭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Apply to Text, Design : 모두 체크, Front face only : 체크

⑤ Text toolbar의 글자크기를 24로 한다.

⑥ File - Export animation을 클릭하고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위치 : 본인폴더, 파일 형식 : Flash bitmap, 파일 이름 : 낙관

Export as animated Flash (bitmap) : Current windows size, Crop ,

True color (24-bit), Transparent, Lossless를 체크한다. 저장한다.

 

-avi로 저장

베가스에서 낙관 저장

1,컬라옵션-백그라운드-RGB-에서-B만[255](설정)-나머지-RG는[0]으로(설정)

 x6-2

 x6-3

 x6-4

 x6-5

-자라 3D파일[편집용]로(저장)하기-

-파일 저장하기전-폰트명-영문[Arial]로(변경)후-File-Save As-저장한다

 

 

 

* Vegas 7.0 - 4

 

* 베가스에서 작품 만들기(강아지 동영상) - 포토샵, 스위시맥스2, 자라3D 6에서 만든 파일과 배경으로 사용할 음악 파일을 준비한다.

 

1. 베가스를 실행시키고 View - Window Layouts - Load Default Layout을 클릭한다.

2. Explorer의 본인 폴더에서 준비한 파일을 드래그하여 타임라인에 하나씩 위치한다. 위에서부터 순서를 동영상 제목 타이틀, 동영상 엔딩 크레딧, 동영상배경, 낙관, 강아지영상, 사운드 순으로 가져온다.

 

 

 

3. 트랙목록의 이름을 각각 영상에 맞게 입력한다.

 -이름난(더블클릭)-[입력]

 

4. 강아지 영상의 앞, 뒤로 동영상 제목 타이틀과 동영상 엔딩 크레딧을 위치한다. 불필요한 트랙 목록은 지운다.

 -불필요한 트랙 목록은 지운다.

 

 -불필요한 트랙 목록은 지운다.

 

 

5. 타임라인에서 강아지 영상을 4부분으로 잘라서 2초 간격으로 겹친다. Transitions에서 원하는 Transitions 효과를 적용한다.

 

 

 

 

6. 타임라인에서 동영상 배경과 낙관의 길이를 강아지 영상에 맞게 늘린다.

 

7. 타임라인에서 배경음악의 길이를 강아지 영상에 맞게 조절한다.

 

8. 타임라인에서 순서는 위에서부터 낙관, 동영상배경, 강아지영상, 배경음악 순으로 한다.

 

9. 타임라인에서 각각의 영상의 Event Pan/Crop...을 클릭하여 F자가 쓰인 화면부분에서 마우스 우클릭 - Match Output Aspect를 클릭한다.

 

 

 

 

10. 타임라인에서 낙관의 Event Pan/Crop...을 클릭하여 F자가 쓰인 화면부분을 축소한 후 좌측의 Position의 Width/Height를 대략 400/300 정도로 한다. F자 화면부분을 드래그하여 낙관의 위치가 우측 위로 오게 한다

 

 -좌측의 Position의 Width/Height를 대략 400/300 정도로 한다. F자 화면부분을 드래그하여 낙관의 위치가 우측 위로 오게 한다

 

11. 타임라인에서 낙관 영상의 우측 Event FX...를 클릭하여 Sony Chroma Keyer를 더블클릭한 후 OK를 클릭한다.

 

 

 

12. Video Event FX창이 나오면 R : 0, G : 0, B : 255로 한다.

-중간 중간 저장-

 

13. 타임라인에서 각각의 영상에 Fade 효과를 적용한다. (약2초정도)

14. File - Render As...를 클릭하여 전체 렌더링을 한다.

- 위치 : 본인 폴더, 파일 형식 : wmv, 템플릿 : 512, 파일명 : movie

 14-1

 14-2

 14-3

 14-5-flv파일로(변환)후 파일로 업로드

 

15. Rendering 후 Open 버튼을 클릭하여 동영상이 잘 저장되었는지 확인한다.

 cc_dogMovie.flv (4766kb)

* 비디오FX 살펴보기

1. Add Noise: 노이즈가 나타나도록 하여 독특한 느낌을 갖게합니다.

- Noise Level: 노이즈의 양을 조절합니다.

- Monochromatic: 노이즈의 색상을 모노톤(흑백)으로 만듭니다.

- Gaussian Noise: 노이즈의 입자를 크게 만듭니다.

- Animate: 노이즈가 불규칙적으로 다른 위치에 만들어져 애니메이트 됩니다. 재생해보면 노이즈가 움직이는 것처럼 나타납니다.

2. Black and White: 컬러 영상을 그레이스케일로 변환합니다. Blend로 흑백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3. Black Restore: 영상의 어두운 영역을 검정색으로 변화시킵니다. Threshold로 검정색으로 나타날 영역을 조절합니다.

4. Border: 영상의 가장 자리에 테두리를 만듭니다.

Type: 테두리의 형태를 선택합니다. 기본적으로 Solid로 되어 있어 평면적인 테두리를 만들어주지만 Blurred는 부드러운 검정색의 테두리를, Beveled는 입체적인 테두리로 만들어 줍니다.

- Size: 테두리의 두께를 조절합니다.

- Angle: 테두리의 타입이 Beveled인 경우에만 설정할 수 있으며 빛의 방향을 조절합니다.

- Clolor: 테두리의 색상을 지정합니다.

5. Brightness and Contrast: 영상의 밝기와 대비를 조절합니다. 희미한 영상을 밝고 진하게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 Brightness: 영상의 밝기를 조절합니다.

- Contrast: 영상의 명암대비를 조절합니다.

- Contrast center: 컨트라스트의 적용 범위를 설정합니다.

6. Broadcast Colors: 컴퓨터 모니터는 1670만 컬러를 지원하면 텔레비전은 2백만 컬러를 지원하므로 이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FX입니다. 자연스러운 색상이 나타나는 프리셋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외부 모니터를 통해 확인해보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7. Bump Map: 특정 방향의 빛과 굴곡을 부여함으로서 입체감 있는 영상을 만듭니다.

- Src X, Y, Z: 광원의 위치를 조절합니다. 원 모양의 광원을 드래그하여 X, Y 좌표를 변경할 수도 있으며 우측의 슬라이더를 드래그하여 Z축 즉 깊이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Light type: 광원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Directional은 특정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비추는 광원을 , Spotlight는 좁은 지역을 집중적으로 비추는 광원을, Omnidirectional은 백열 전구처럼 특정 위치에서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광원을 가리킵니다.

- Intensity: 광원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 Focus: 광원이 비취는 범위를 설정합니다.

- Shininess: 광원이 비췸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광택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 Bump height: 밝은 색과 어두운 색의 경계 지점에 발생하는 굴곡의 높이를 조절합니다.

- Bump Channel: 밝은 색과 어두운 색의 경계 지점에 발생하는 굴곡의 색상 채널을 선택합니다.

- While is high: 밝은 부분이 돌출되도록 합니다.

 

 

8. Channel Blend: 각 색상 채널 영역만을 표시하거나 채널의 비율을 조절하여 영상의 색상을 변경합니다.

- Clolor space: 색상 채널의 혼합 방식을 선택합니다. RGBA는 RGB와 알파채널을, HSLA는 색조(Hue), 채도(Saturation), 레벨(Level), 알파채널을 혼합하는 방식입니다.

- Channel Equations: 선택한 혼합 방식에 의해 각 영역의 범위를 조절합니다.

9. Chroma Blur: 블루 스크린이나 컬러 커넥터 등을 적용하여 얻어진 영상의 가장 자리를 부드럽게 블러 처리해줍니다.

- Horizontal pixels: 수평 방향의 블러값을 조절합니다.

- Vertical pixels: 수직 방향의 블러값을 조절합니다.

10. Chroma Keyer: 두 개의 이벤트를 합성할 때 사용하는 FX로서 상위 트랙에 놓인 이벤트의 특정 색상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이 영역으로 하위 트랙의 이벤트가 나타나게 합니다.

- Color: 상위 트랙의 이벤트에서 투명하게 처리할 색상을 선택합니다.

- Low threshold: 투명하게 처리하는 색상의 범위를 조절합니다.

- High threshold: 투명하게 처리하는 색상의 투명도를 조절합니다.

- Blur Amount: 투명학 처리되는 영역의 가장자리를 부드럽게 처리합니다.

11. Color Balance: 화이트 밸런스가 맞지 않아 잘못된 색상으로 촬영된 영상의 색상을 보정하거나 독특한 느낌을 갖도록 특정 색상으로 변환합니다.

- Red: 빨간색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 Green: 녹색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 Blue: 파란색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 Highlight: 밝은 영역에 대한 색상을 조절합니다.

- Midtone: 중간 영역에 대한 색상을 조절합니다.

- Shdow: 어두운 영역에 대한 색상을 조절합니다.

- Preserve luminosity: 원본 영상의 광도를 유지합니다.

12. Color Corrector: Color Balance보다 더욱 세밀하고 다양한 옵션으로 영상의 색상을 보정합니다. Low, Mid, High 등 세 개의 컬러 휠안에 있는 작은 원을 원하는 색상 방향으로 드래그함으로서 색상을 조절합니다. 컬러 휠의 외곽 쪽으로 멀리 드래그할수록 해당 색상의 강도가 커지게 됩니다.

- Angle: 컬러 휠에 나타난 원의 방향(각도)를 조절합니다.

- Magnitude : 컬러 휠에 나타난 원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합니다.

- Saturation: 영상의 채도값을 조절합니다.

- Gamma: 영상의 감마(대비)값을 조절합니다.

- Gain: 영상의 밝기를 조절합니다.

- Offset: 영상의 휘도를 조절합니다.

13. Color Corrector(Secondary): 또 다른 형태의 색상 보정 FX로서 색상, 명도, 채도가 변하는 임계값과 한계값을 지정하여 부분적으로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 Chrominance: 컬러 휠을 통해 원하는 색상과 강도를 조절합니다.

- Angle/Magnitude: 컬러 휠 안의 원의 각도와 거리를 조절합니다.

- Rotate hue: 색조를 조절합니다.

- Saturation: 채도값을 조절합니다.

- Gamma: 컨트라스트를 조절합니다.

- Gain/Offset: 밝기를 조절합니다.

- Alpha: 알파값을 조절하여 투명도를 변경합니다. 투명할수록 하위 트랙의 영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 Select effect range: 스포이드로 특정 색상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Limit saturation: 채도값의 범위를 설정합니다.

- Show mask: 채도값을 마스크 형태로 보여줍니다.

- Invert luminance: 마스크 영역을 반전합니다.

- Limit hue: 색조의 범위를 설정합니다.

14. Color Curves: 컬러 커브를 사용하여 각 색상 채널별로 감마값을 조절합니다. 커브 위의 임의의 지점을 더블 클릭하여 포인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포인트를 드래그함으로서 특정 지점의 감마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Channel: 원하는 색상 채널을 선택합니다.

- Show all channel: 모든 색상 채널을 보여줍니다.

- Create Point: 커브 위에서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메뉴로서 현재 지점에 포인트를 생성합니다.

- Set All to Red/Green/Blue: 역시 팝업 형태로 나타나는 메뉴로서 현재 색상 채널을 특정 색상 채널의 커브와 동일하게 설정합니다.

15. Convolution Kernel: 영상의 각 픽셀에 대한 밝기를 직접 지정함으로서 섬세하게 원하는 효과를 만듭니다. 프리셋만으로도 엠보싱이나 픽셀을 부드럽게 하는 블러와 날카롭게 하는 샤픈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Convolution matrix: 각 입력란에 수치를 입력하여 픽셀에 대한 밝기를 설정합니다.

- matrix operations: 픽셀의 회전, 크기와 간격 등을 설정합니다.

- Auto normalize: 입력한 값에 따라 Scale 값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합니다.

16. Coolie Cutter: 영상의 일부분을 특정 형태나 특정 색상으로 가려 줍니다.

- Border Color: 가려지는 부분의 색상을 설정합니다.

- Shape: 가려지는 부분의 도형을 선택합니다.

- Method: 가려주는 방식을 선택합니다.

- Feather: 가려지는 부분의 경계를 부드럽게 처리합니다.

- Repeat X/Y: 가려지는 부분의 개수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설정합니다.

- Size: 가려지는 부분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 Center X/Y: 가려지는 부분의 위치를 조절합니다. 하단의 사각형 영역에서 슬라이더를 드래그하여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17. Deform: 영상을 다양한 형태로 왜곡시킵니다. 프리셋 중 하나를 선택한 다음 세부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 Amount: 왜곡되어지는 강도를 조절합니다.

- Center image: 왜곡이 중심을 중앙에 맞추어 줍니다.

- Background color: 왜곡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백에 대한 색상을 설정합니다. 기본적으로 투명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을 통해 하위 트랙의 영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 Squeeze: 왜곡되는 각 방향(상, 하, 좌, 우)에 대한 크기를 설정합니다.

- Shear: 수직, 수평 방향에 대한 왜곡 강도를 설정합니다.

- Curve: 곡선 형태로 왜곡되는 크기를 각 방향별로 설정합니다.

18. Film Effects: 빛이 바래고 스크래치가 발생하도록 하여 오래된 필름과 같은 효과를 만듭니다.

- Gain: 노이즈 양을 조절합니다.

- Tint: 흑백 또는 빛바랜 모노톤 색상으로 조절합니다.

- Color: Tint로 조절할 색상을 설정합니다.

- Convert to grayscale: 컬러를 모노톤으로 변환합니다.

- Enable articles: 미세한 작은 조각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Type: 작은 조각의 형태를 선택합니다. 먼지, 머리카락, 스크래치 등 여러 형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mount: 작은 조각의 움직임에 대한 강도를 조절합니다.

19. Film Gain: 잡티가 낀 것 같은 영상을 만듭니다.

- Amount: 잡티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 Granularity: 잡티의 굵기를 조절합니다.

- Chromaticity: 잡티의 컬러 농도를 조절합니다.

20. Gaussian Blur: 영상의 픽셀 경계를 흐리게 함으로서(블러) 부드럽게 나타나도록 합니다.

- Horizontal: 수평 방향의 블러 강도를 조절합니다.

- Vertical: 수직 방향의 블러 강도를 조절합니다.

- Channels: 블러가 적용될 색상 채널을 선택합니다.

21. Glow: 영상의 색상 경계 부분을 특정 색상으로 밝게 확산시킵니다.

- Glow percent: 글로우의 영역을 조절합니다.

- Intensity: 글로우의 밝기를 조절합니다.

- Suppression: 글로우의 제한 범위를 조절합니다.

- Color: 글로우의 색상을 선택합니다.

22. Gradient Map: 두 개 이상의 연속되는 색상을 영상에 매핑 즉 덮어씌웁니다.

- Color: 변화될 각 색상을 지정합니다.

- Amount: 그라디언트의 색상 강도를 조절합니다.

- Mode: 그라디언트의 색상이 적용되는 방식을 선택합니다. Blend는 영상과 혼합되도록 하며 Add는 별도로 추가됩니다.

23. HSL Adjust: 영상의 색조(Hue), 채도(Saturation). 휘도(Luminance)를 조절하여 원하는 색상과 느낌을 갖도록 합니다.

- Add to Hue: 색조를 조절합니다.

- Saturation: 채도를 조절합니다.

- Luminance: 휘도를 조절합니다.

24. Invert: 영상의 색상을 반전하여 네거티브 필름처럼 나타나게 합니다. Blend로 반전 강도를 조절합니다.

25. Lens Flare: 특정 색상의 광원과 광원이 카메라의 렌즈에 반사될 때 나타나는 렌즈 플레어를 만듭니다.

- Light color: 광원과 플레어의 색상을 선택합니다.

- Light position: 작은 원을 드래그하거나 수치를 입력함으로서 광원과 플레어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 Lens type: 렌즈의 초점거리를 선택합니다. 광원과 플레어의 크기 및 개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Tint: 광원과 플레어의 색상 밝기를 조절합니다.

- Intensity: 광원과 플레어의 색상 강도를 조절합니다.

- Blend: 광원과 플레어와 영상의 혼합 비율을 조절합니다.

- Size: 광원과 플레어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 Perspective: 광원과 플레어의 비율을 조절합니다.

26. Levels: 영상의 밝기와 대비를 조절합니다. 흐릿한 영상을 밝고 진하게 만드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 Channel: 레벨값이 적용될 색상 채널을 선택합니다.

- Input start/end: 레벨값의 범위를 조절합니다.

- Output start/end: 출력 레벨값의 범위를 조절합니다.

- Gamma: 대비값을 조절합니다.

27. Light Rays: 영상의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빛이 퍼져나가는 듯한 효과를 만듭니다.

- Light Source: 원을 드래그하거나 수치를 입력함으로서 빛이 발산하는 위치를 지정합니다.

- Tint Color: 빛의 색상을 선택합니다.

- Sensitivity: 빛이 뻗어나가는 줄기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 Strength: 빛이 뻗어나가는 길이를 조절합니다.

- Bound Radius X/Y: 빛이 나타나는 한계 범위를 조절합니다.

- Feather: Bound Radius X/Y로 설정한 범위의 가장 자리 부분에 대한 부드러움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 Blend: 빛과 영상의 혼합 비율을 조절합니다.

- Noise: 빛에 포함될 노이즈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28. Linear Blur: 영상에 특정 방향의 선형 블러를 만들어줍니다.

- Angle: 블러의 방향을 설정합니다.

- Amount: 블러의 강도를 설정합니다.

29. Mask Generator: 지정한 색상 채널을 마스크로 사용하고 그 이외의 채널 영역을 투명하게 처리합니다. 투명하게 처리된 영역으로 하위 트랙에 있는 영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하위 트랙에 영상이 없다면 검게 표시됩니다.

- Type: 마스크 특 가려질 색상 채널을 선택합니다.

- Invert: 지정된 마스크 영역을 반저시킵니다.

- Low/High in: 마스크로 사용된 낮은 톤의 투명도의 최소/최대 범위를 조절합니다.

- Low/High out: 마스크로 사용된 높은 톤의 투명도의 최소/최대 범위를 조절합니다.

30. Median: 픽셀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서 거친 느낌의 수채화 같은 영상을 만듭니다.

- Horizontal range: 픽셀의 가로 크기를 조절합니다.

- Vertical range: 픽셀의 세로 크기를 조절합니다.

- Offset: 영상의 밝기를 조절합니다.

- Circular area processing: 지정된 크기로 픽셀을 둥글게 만듭니다.

31. Min and Max: 영상에 굵은 픽셀이 나타나게 하여 왜곡시킵니다.

- Operation: Minimum은 어두운 부분을 Maximum은 밝은 부분의 픽셀을 굵게 만듭니다.

- Horizontal: 굵게 만들 픽셀의 가로 영역을 조절합니다.

- Vertical: 굵게 만들 픽셀의 세로 영역을 조절합니다.

- Circular area processing: 굵게 변한 픽셀을 동그랗게 처리합니다.

32. Mirror: 거울에 비친 것처럼 대칭되는 영상을 만듭니다.

- Angle: 대칭되는 각도를 설정합니다.

- Center: 대칭되는 중심점을 지정합니다.

- Background Color: 대칭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백에 대한 색상을 지정합니다.

33. News Print: 영상에 도트(Dot)를 추가하여 인쇄물과 같이 거친 느낌이 나도록 합니다.

- Dot size: 도트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 Type: 도트의 색상을 선택합니다.

34. Pinch/Punch: 영상을 오목렌즈나 볼록렌즈로 보는 것처럼 오목하게 또는 볼록하게 만듭니다.

- Center: 왜곡되게 할 중심점을 지정합니다.

- Amount: 왜곡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 Scaling: 왜곡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 Proportional: 크기를 조절한 경우 가로/세로의 비율이 유지되도록 합니다.

35. Pixelate: 영상의 픽셀을 크게 변환함으로서 모자이크 처리한 것처럼 나타나게 합니다.

- Horizontal pixelization: 픽셀의 가로 크기를 조절합니다.

- Vertical pixelization: 픽셀의 세로 크기를 조절합니다.

36. Quick Blur: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블러로서 Blend로 강도를 조절합니다. 블러의 강도는 약한 편입니다.

37. Radial Blur: 방사형의 블러를 만들어줍니다. 키프레임을 생성하여 블러값을 다르게 지정하면 카메라로 줌/아웃 하면서 변화되는 듯한 효과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 Center: 블러의 중심점 즉 퍼져나가는 기준 위치를 설정합니다.

- Type: Proportional은 블러의 중심이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며 Fixed Radius는 중심으로부터 확산되어가도록 합니다.

- Strength: 블러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38. Saturation Adjust: 영상의 채도를 정밀하게 조절합니다.

- Amount: 채도값을 조절합니다.

- Center: 조절한 채도값의 기준점을 설정합니다.

- Spread: 조절할 채도값의 범위를 설정합니다.

- Low/High: 변경될 채도값의 최소/최대 범위를 설정합니다.

39. Sepia: 컬러 영상을 단조로운 세피아 톤으로 만듭니다. 키프레임을 생성하여 시작 지점을 컬러로 특정 지점을 세피아 톤으로 지정하면 정적인 느낌을 갖게 할 수 있습니다.

- Color: 세피아 톤으로 사용할 색상을 선택합니다.

- Blending strength: 세피아 톤과 영상과의 혼합 비율을 조절합니다.

- Blending falloff: 세피아 톤의 투명도를 조절합니다.

40. Sharpen: 픽셀의 경계를 날카롭게 하여 뚜렷하고 선명한 영상을 만듭니다. Amount로 강도를 조절합니다. 샤픈은 흐린 영상을 선명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나 지나치게 적용할 경우 왜곡되어 보이므로 특별한 목적이 아니라면 적절한 강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Amount로 강도를 조절합니다.

41. Spherize: 영상의 특정 부분을 원형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방법으로 왜곡시킵니다.

- Center: 왜곡되게 할 중심점을 지정합니다.

- Amount: 왜곡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 Scaling: 왜곡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 Proportion: 크기를 조절한 경우 가로/세로의 비율이 유지되도록 합니다.

42. Swirl: 영상의 특정 부분을 중심으로 소용돌이치는 것처럼 왜곡시킵니다.

- Center: 왜곡되게 할 중심점을 지정합니다.

- Amount: 왜곡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 Scaling: 왜곡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 Proportional: 크기를 조절할 경우 가로/세로의 비율이 유지되도록 합니다.

43. Threshold: 영상의 색상을 단조롭게 만듭니다. Threshold로 표시될 영역의 밝기를 조절합니다.

44. Timecode: 영상 위에 타임코드가 나타나도록 합니다.

- Timecode format: 타임코드의 형식을 선택합니다.

- Horizontal alignment: 타임코드가 나타날 수평 위치를 선택합니다.

- Vertical alignment: 타임코드가 나타날 수직 위치를 선택합니다.

- Timecode width: 타임코드의 넓이를 조절합니다.

- Timecode height: 타임코드의 높이를 조절합니다.

45. TV Simulator: 브라운관의 수평 동기나 수직 동기가 맞지 않아 비틀어지거나 난시청 지역에서 화면이 흔들리는 것 같은 영상을 만듭니다. 프리뷰를 통해 재생해야 적용 결과를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

- Detail zoom: 주사선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 Aperture gril: 주사선의 밝기를 조절합니다.

- Interlacing: 주사선의 투명도를 조절합니다.

- Scan phasing: 수직 동기 값을 조절합니다.

- Static: 화면에 나타나는 노이즈의 양을 조절합니다.

46. Unsharp Mask: 강렬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샤픈을 적용하여 픽셀을 날카롭게 하거나 경계부분만 나타나도록 합니다.

- Amount: 샤픈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 Radius: 샤픈이 원형으로 퍼져나가는 강도를 조절합니다.

- Threshold: 샤픈이 적용될 픽셀 단위를 설정합니다. 0으로 설정한 경우 모든 픽셀에 샤픈이 적용됩니다.

47. Wave: 영상을 물결치는 것처럼 왜곡시킵니다.

- Vertical waves: 수직 방향의 물결 개수를 설정합니다.

- Horizontal waves: 수평 방향의 물결 개수를 설정합니다.

- Vertical amplitude: 수직 방향의 물결 강도(파고)를 설정합니다.

- Horizontal amplitude: 수평 방향의 물결 강도(파고)를 설정합니다.

- Vertical phase: 수직 방향의 물결 형태를 조절합니다.

- horizontal phase: 수평 방향의 물결 형태를 조절합니다.

48. (Legacy Plug-In) Broadcast Colors: 방송 표준 색상으로 만듭니다. Broadcast Colors FX 보다 사용빈도는 떨어지는 편입니다.

 

- FLV(flv) 란?

FLash Viedo file의 약자로서 플래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동영상 파일이다. 플래시 비디오(FLV)는 다른 동영상 파일들에 비해 용량은 작지만 화질은 매우 우수한 파일 포맷이다. 또 플래시(FLV) 파일은 WMV나 AVI, ASF 등의 포맷에 비해 보안성이 높고 작은 용량으로 고화질을 구현하는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 FLV(flv) 감상하기

다음 - 동영상 - 원하는 동영상을 검색하거나 좌측의 인기채널을 클릭하여 원하는 FLV(flv) 동영상을 감상한다.

 

- FLV(flv) 주소 및 파일 받기

1. FLV(flv) 동영상을 감상한 후 우측 아래 퍼가기를 클릭한 후 주소 복사하기의 복사하기를 클릭한다.

2. www.2getflv.co.kr로 이동하여 검색란에 붙여넣기 한 후 검색을 클릭한다.

3. 화면아래의 위 저작권법에~ 을 클릭한다.

4. Download Link1을 클릭한다.

- 주소표시줄 아래 노란색 바를 클릭 - 파일 다운로드 클릭 - 본인 폴더에 저장한다.

- URL 우측의 주소를 복사하여 SwishMax3에서 링크한다.

 

- 컴퓨터에서 FLV(flv) 파일 실행하기

1. FLV(flv) 코덱(Codec)이 있어야 한다.

2. 곰플레이어를 설치한다.

3. 동영상 변환 프로그램인 Show를 설치한 후 형식을 변환하거나 불러와서 실행할 수 있다.

 

* 코덱(Codec)이란?

- 영상 데이터는 용량이 방대하기 때문에 특정 방식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는데 이러한 압축 방식을 코덱(Codec)이라고 한다. Compression-Decompression, 즉 압축-비압축을 의미하는 용어에서 머리글자만 따 온 것이다. 코덱(Codec)은 윈도우와 함께 설치되는 것이 있으며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같은 AVI 포맷의 영상이라 하더라도 어떠한 코덱을 사용하였는가에 따라 화질과 용량에 있어서 차이가 나므로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도록 한다.

특정 코덱을 사용하여 생성된 영상은 재생할 때도 시스템에 동일한 코덱이 설치되어 있어야 정상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즉, A라는 컴퓨터에서 AA라는 코덱을 사용하여 영상을 만들었다면 B라는 컴퓨터에도 AA라는 코덱이 설치되어 있어야 그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압축된 파일을 풀기 위해서는 해당 압축 형식을 풀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스위시맥스2와 동영상 링크>

 

* 동영상 변환하기

1.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10~20초 정도의 동영상 파일을 준비한다.

2. Show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입력-찾기 : 본인 폴더에서 동영상 파일을 가져온다.

- 출력형식 : FLV 플래쉬 동영상 파일을 클릭한다.

- 출력폴더-찾기 : 본인 폴더를 지정한다.

- 출력파일명 : 원본파일 이름 앞에 c_가 추가된다.

- 출력 비디오 옵션에서는 비디오 사이즈, 프레임 레이트, 비트레이트를 설정한다.

- 출력 오디오 옵션에서는 스트레오, 비트레이트, 샘플링 레이트를 설정한다.

(출력 비디오, 오디오 옵션에서는 숫자가 적을 수록 용량이 낮아지는 대신 퀄리티가 떨어지고, 숫자가 커질수록 용량이 높아지는 대신 퀄리티가 높아진다.)

- 설정이 다 되었으면 우측아래 변환하기 버튼을 클릭한다.

- 변환하는 과정이 끝나면 본인 폴더에 가서 확인한다.

 

 

 

* 동영상 링크하기

1. 변환된 flv 파일을 카페에 업로드 한다.

2. 주소를 복사한다.

3. 스위시맥스2 프로그램에서 파라미터에 주소를 붙여넣기 한다.

4. Play Movie 버튼을 클릭하여 동영상이 링크되었는지 확인한다.

 

<스위시맥스2와 동영상 링크2>

 

1. 베가스에서 만든 동영상 파일을 카페에 업로드 한다.(wmv - 동영상, 파일)

2. 카페에 올린 동영상 파일을 링크 한다.(wmv - 링크)

3. Show 프로그램으로 wmv 파일을 flv 파일로 형식을 변환한다.

4. flv로 변환된 파일을 카페에 업로드 한다. 주소를 복사 한다.

6. 스위시맥스2를 실행시키고, Properties 패널에서 Movie Properties 버튼을 클릭한다.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Background color : 검정색, Width : 500, Height : 375, Frame rate : 15,

Export Settings for Movie... : SWF 9

7. View 옵션에서 Fit Stage in Window 버튼과 Automatically adjust~ 버튼을 클릭한다.

8. Components 패널에서 Video Players - Player With Controls를 드래그하여 Stage에 떨어뜨린다.

9. Outline 패널에서 Player 무비클립을 펼치고, VideoPlayer를 선택한 후 Transform 패널에서 width/height를 400/300으로 바꾼다.

10. Outline 패널에서 Player 무비클립을 합친 후 Align 패널에서 Align Horizontal Center/Align Vertical Center를 클릭한다.

11. File - Save As...를 클릭하여 본인 폴더에 저장한다.

12. Outline 패널에서 Player를 선택한 후 Parameters 패널의 url에 카페에 올린 동영상의 주소를 붙여넣기 한다.

13. File - Export - SWF를 클릭하여 본인 폴더에 swf 파일로 저장한다.

14. 카페에 올린 후 링크 한다.

 

<스위시맥스2와 동영상 링크3>

 

1. 스위시맥스2와 동영상 링크2번의 내용에 추가하여 작업한다.

2. Outline 패널에서 Player 무비클립을 복사하여 3번 붙여넣기한다.(Paste In Place)

3. Outline 패널에서 Player의 이름을 각각 Player1~Player4로 한다.

4. Outline 패널에서 Player의 순서는 Scene1 아래로 Player1~Player4로 한다. Timeline 패널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Player1 : 1프레임 - Place, 2프레임 - Remove

Player2 : 2프레임 - Place, 3프레임 - Remove

Player3 : 3프레임 - Place, 4프레임 - Remove

Player4 : 4프레임 - Place

Secen1의 1~4프레임 : 마우스 우클릭 - Movie Control - stop()

 

5. Components 패널의 Effects - Filters - GlowFilter를 드래그하여 Stage로 가져온다.

6. Outline 패널의 GlowFilter 무비클립을 선택한 후 Parameters 패널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기본색, false, false, 4, 4, 3, repeat, alternate, 30, medium, 기본색, 4, 4, 3

 

7. Outline 패널 GlowFilter무비클립을 펼치고 텍스트를 선택한 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글자모양 : Arial, 글자크기 : 20, 글자색 : 흰색, 스타일 : B, 내용 : NEXT, 마진해제, 글로우필터를 합친 후 Stage에서 위치를 화면 우측아래 컨트롤 박스 우측으로 위치한다.

8. 글로우 필터의 무비클립의 이름을 next라고 한다. next 무비클립을 선택한 후 Script 패널을 클릭하여 다음과 같이 스크립트를 입력한다.

- on (release) {

_root.nextFrame();

}

 

9. Outline 패널의 next 무비클립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한다. 이름을 prev로 한다.

10. Outline 패널의 prev 무비클립을 선택한 후 Parameters 패널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다른 설정은 그대로 두고, color : 파랑, finalColor : 녹색으로 바꾼다.

- prev를 펼치고 텍스트를 선택한 후 내용을 PREV로 바꾼다. 컨트롤 박스 좌측에 위치한다.

 

11. Outline 패널의 prev 무비클립을 합치고, Script 패널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 on (release) {

_root.prevFrame();

}

 

14. 카페에 미리올린 flv파일의 주소를 복사하여 Player1~Player4를 선택하고, 각각 Parameters 패널의 url에 붙여넣기한다.

15. Play Movie 버튼을 클릭하여 테스트한다.

16. File - Export - SWF를 클릭하여 SWF로 저장하고, 카페에 업로드하여 링크한다.

 

* 화면에 Tools의 사각형 도구로 아웃라인(테두리)을 만들어 준다.

- 400x300, Line: 실선, 흰색, 1, Fill: None, O=X, 센터

 

만든 사람과 프로그램들

감독 : 운봉

제작 : 박재술

조명 : 네티즌
촬영 : 네티즌
출연 : 강아지1, 2, 3
장소 : 집

프로그램 : Xara 3D 6
SwishMax 3

Photoshop 7
Vegas 7

이미지 : 강아지 캐릭터
협찬 : 세종로 주민자치센터
스위시맥스3 유틸리티반 강의 작품

출처 : 머물다 간 자리
글쓴이 : 천리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