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정원 감상 門/영화음악ost

[영화] 하이눈(High Noon) OST <백주의 결투>

항상1004님과함께 2007. 8. 10. 15:14



High Noon (하이 눈) - Dimitri Tiomkin

Do not forsake me, oh my darling
On this our wedding day
Do not forsake me, oh my darling
Wait, wait along

I do not know what fate awaits me
I only know I must be brave
And I must face a man who hates me
Or a liar coward
A grieving coward
Or a liar coward in my grave

Oh to be torn with love and beauty
Supposing I lose my fair haired beauty
Look at the big hand move along
Near in high noon
He may live out while in a state prison
Proud it will be my life for his
I'm not afraid of death at all
What will I do if you leave me

Do not forsake me, oh my darling
You made that promise as a bride
Do not forsake me, oh my darling
Although you're grieving
Don't think of leaving
Now that I need you by my side






백주의 결투 白晝-決鬪 (High Noon)

서부의 한 보안관의 사랑과 일을 그린 1952년작 미국의 서부영화.
감독 : 프레드 진네만
배우 : 게리 쿠퍼 ·그레이스 켈리
제작/수입 배급사 : 스탠리프로덕션=유나이트
제작/출시일 : 1952년


스탠리프로덕션=유나이트 작품의 흑백영화다. 감독은 프레드 진네만이 음악은 디미트리 티옴킨이 맡았다. 게리 쿠퍼 ·그레이스 켈리가 출연하였다.

5년간의 임무를 지금막 끝낸 미국 서부의 한 보안관 윌 케인(G.쿠퍼)은 지금 애미(G.켈리)와 결혼식을 올리고 이 거리를 떠나려 한다. 그때 5년전 이 마을에서 체포된 흉악범 밀러가 형을 마치고 정오에 도착한다는 소식이 왔다. 곧 정오였다. 케인은 유서를 써 놓고 죽은듯이 조용한 거리로 나선다. 이글이글 내리 쬐는 황야에 무법자들이 모여든다. 숨막히는 총격전을 끝낸 케인은 보안관 배지를 집어던진 후 애미와 함께 마차를 타고 그 고장을 떠난다.

단순하고 필요한 요소만 뽑아 만든 드라마이다. 영화 속에서 경과하는 시간이 바로 영사시간과 일치하는데서 시시각각 위기가 고조되는 긴장감으로 끝난다. 무엇보다 그 주제가 《하이눈》이 《백주의 결투》를 성공으로 이끈 관건이다. 아카데미 주연남우상 ·음악상 ·편집상을 받았다.




 

원 제 : High noon

감 독 : 프레드 진네만

출 연 : 게리쿠퍼, 토마스 밋첼, 그레이스 켈리

 

하이눈 은 영화의 지속시간과 플롯의 지속시간이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85분이라는 상영시간과 오전 10시30분쯤 시작해 정오가 조금 지나서 끝나는 스토리사 비슷한 것이다. 서부의 어느마을 주일날, 보안관 케인(케리 쿠퍼)은 에미(그레이스 케리)와 막 결혼식을 올리고 이 마을을 떠나려는 참이다. 그런데 과거 그에 의해감옥에 갔던 밀러라는 악당이 풀려나 정오에 기차로 마을에 도착한다는 소식이 날아든다. 밀러가 케인이게 복수할 것이라는 건 뻔한 사실이다. 세명의 부하들은 벌써 역에서 그를 기다리고 있다.

케인은 이미 보안관직을 떠났고 마을 사람들은 사태가 복잡해지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에 그가 즉각 떠나기를 바란다. 아내 에미도 만약 케인이 밀러 일당과 대결한다면 자신은 떠나겠다며 강경하게 싸움을 막는다. 케인은 처음에는 주저하지만 자신이해야 할 일을 결심한다. 그는 자신을 도와줄 마을 사람들을 찾아다니지만 한결같이 싸움을 회피할 이유를 대며 아무도 도와주려 하지 않는다. 케인을 결국 혼자 맞서는쪽을 선택한다. 그는 혼자서 위기에 대처해야 하며 자신이 속한 사회속에서 고립된 인물인 것이다.

영화의 마지막은 시간의 일치라는 이 영화의 미학적 기본요소를 통해 관객들을 극적인 분위기를 이끌고 들어간다. 정오가 다가오고 홀로 사무실에서 유서를 쓰고 있는 케인. 교회에서 예배를 보고 있는 사람들. 술집 안 사람들의 긴장된 표정들과 불길하게 똑딱거리는 시계추등의 모습이 교차된다. 드디어 시계가 정오를 울리고 기적소리가 들리자 케인과 에미의 표정이 초조하게 교차되고 긴장감 넘치는 음악이 흐르기시작한다. 케인은 텅빈 거리에 홀로서서 마차를 타고 아무 말없이 떠나는 아내를 지켜본다. 밀러가 부하들의 영접을 받으며 도착하고 캐인은 홀로 침묵에 쌓인 거리에 서서 그들과의 대결에 임한다. 여기에서 카메라는 한낮의 태양으로 땀이 가득한 케인의 얼굴을 보여주고 그레인업하면서 케인이 땅에 땀을 터는 동작, 그리고 부감의 롱쇼트로 케인이 대결을 위해 걸어가는 뒷모습을 보여줌 으로서 그의 두려움과 외로움을 강조한다.

결투가 시작되고 총소리가 들리자 에미는 기차에서 뛰어내려 마을로 달려온다. 케인은 힘겹게 밀로 일당들과 상대한다. 불붙은 마구간에서 말들과 함께 빠져나온 케인이 말에서 떨어지고 간신히 숨어 들때는 지쳐서 거의 쓰러질 뻔한 모습이다. 폭력에반대하는 퀘이커교도인 에미도 어쩔 수없이 한명을 등 뒤에서 총을 쏘아 쓰러뜨린다밀러는 에미를 인질로 삼지만 케인은 에미가 반항하는 순간밀러를 해치운다. 케인은그제야 몰려든 마을 사람들을 힐끗보고는 보안관뺏지를 땅바닥에 던져 버린다. 그리고 자신을 버렸던 비겁한 마을 사람들을 뒤로 하고 에미와 함께 마을을 떠난다.

이 마지막 장면은 영상과 케리쿠퍼의 연기에 주목하게 된다. 케인은 보통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두려움과 공포를 느끼고 겁을 먹기도 한다. 그의 고통은 두려움과 사람들의 배반에서 비릇된다. 그는 결투에 앞서 죽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유서를 쓰기도 한다. 케인은 영화가 진행될수록 점점 더러워지고 초퀘한 모습으로 그려진다.그의 걸음걸이는 꾸부정하고 팔은 축 처져있다. 대사도 거의 없다. 쿠퍼는 이 영화로 두번째 아카데미상을 탔다.

프레드 진네만의 하이눈 은 과거 고전적 서부영화의 신화적 차원보다는 인물의 심리적,도덕적 갈등을 창조했다. 주인공은 항상 용감하고 낭만적인 영웅의 모습이 아니다. 이러한 수정주의적 경향은 형사영화,갱스터,스릴러등 50년대 다른 장르에도 "탈신신화"의 영향을 끼쳤다.

 시네21(영화사를 바꾼 명장면/글-신강호)에서 발췌

 

 

 

Do not for sake me oh my darling

 

[유종호 추억 속 내 영화]⑫제니퍼 존스의 ''백주의 결투''


내가 처음으로 알게 된 영어 단어는 갱과 린치가 아니었나 생각된다. 해방 직전 태평양전쟁 중 일본의 대국민 반미(反美) 선전은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그 가운데 사회가 무질서해서 도회지엔 폭력단의 흉악 범죄가 들끓고 또 정의의 관념이 희박해서 사회적 약자에게 함부로 사형(私刑)을 가한다는 것이 되풀이 강조되었던 것 같다. 처음으로 서부영화를 보았을 때 문득 초등학교 시절에 알게 된 갱과 린치란 단어가 떠올랐다.

사실 서부영화는 미국 영화산업의 가장 독창적인 발명품이다. 폭력적인 무법자들에게 맞서 힘겨운 싸움을 벌이는 정의의 사나이가 마침내 승리하여 금발의 미녀와 황금마차를 차지하게 된다는 줄거리는 다채로운 변주를 통해 관객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2시간 안에 결판 나는
사필귀정(事必歸正)의 사연은 현실에서 실현되기 어렵기 때문에 영화관의 허구 공간에서 더욱 매력적인 것인지도 모른다. 주인공이 일탈적인 인물인 경우에도 끝자락에 가서는 개과천선하여 바른 길로 들어서는 것이 서부영화의 인간 파악이었다. 그 점 그것은 한결같이 예정조화의 서사였다.

존 웨인, 개리 쿠퍼, 앨런 래드 등의 스타를 앞세우고 1940년대와 50년대에 전성기를 맞았던 서부영화는 그 후
마카로니 웨스턴에 의해서 위태롭게 승계되다가 마침내 슬그머니 퇴장하고 말았다. 솔직히 요즘 나오는 우주 전쟁영화나 범죄 수사 영화보다는 서부영화가 내게는 더 재미있다. 그것이 사라진 것이 아쉽게 느껴지는데 그것은 소멸해 가는 것에 대해 우리가 공통적으로 갖는 감정일 것이다.



처음 구경한 서부영화가 무엇인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아마 아파치족과의 싸움을 다룬 별 볼 일 없는 것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백주(白晝)의 결투’가 기억에 각인된 최초의 서부영화인 것만은 확실하다. 조지프 코튼의 팬이었던 나는 이 영화도 그의 이름에 끌리어 구경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그가 이 영화의 주인공인 것은 아니다. 백인과 인디언 사이의 혼혈로 나오는
제니퍼 존스가 주연이라고 하는 쪽이 자연스러울 것이다. 상영 시간도 길고 스케일도 크고 사건 전개도 복잡한 편인 이 영화는 서부영화치고는 사랑이 전경화(前景化)되어 있고 사필귀정의 정석을 밟는 것도 아니어서 다소 이채로운 편이다.

라이어넬
배리모어가 대목장 주인으로 나오고 조지프 코튼이 큰아들, 그레고리 펙이 작은아들로 나온다. 큰아들은 점잖고 의젓한 인품이지만 작은아들은 거들먹거리고 충동적이고 분별없는 바람둥이이다. 그들의 어머니는 조신하지 못한 행실로 집안에 그림자를 던지고 자식들 양육에도 문제를 남긴 과거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 혼혈인 제니퍼 존스가 등장한다. 그녀의 아버지는 혼혈의 아내와 그 정부를 살해한 죄로 교수형을 당한 인물이다. 제니퍼 존스는 그레고리 펙에게 끌리고, 이 때문에 그녀와 결혼하기를 원하는 남자는 그레고리 펙의 총을 맞고 세상을 뜨게 된다. 마지막 장면에서는 총을 맞은 그레고리 펙이 죽어라 하고 제니퍼 존스에게로 기어가다시피 하는데 그 정경이 상당히 오래 계속된다. 그야말로 격정적이고 필사적인 장면인데 결국 두 사람은 서로 상대방을 쏘고 포옹한 채로 죽는다. 아마 서부영화에서나 가능한 사랑과 죽음의 야성적인 합일 장면이었다.

복잡한 가정사가 얽힌 이 강렬한 색채영화에서 제니퍼 존스가 온통 스크린을 지배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혼혈로 나오는 그녀를 원시적 관능의 화신으로 만든 것은 이 영화가 1940년대에 제작되었다는 것과 연관된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맥락에서 50년대 이전엔 아메리칸 인디언이 부정적으로만 묘사되었다는 것을 상기해 보는 것도 유익할 것이다. 관능과 격정이 전경화된 이 영화의 선전광고에는 미국에서 많은 관객을 동원했다는 것이 기록되어 있었는데 서부영화의 걸작이라는 말은 듣지 못했던 것 같다. ‘셰인’이나 ‘하이눈’ 같은 정통 서부극이 누리고 있는 명성을 갖지 못해 이 영화를 기억하는 올드 팬도 별로 없어 보인다.
 
문학평론가
미디어 다음 ⓒ 세계일보&세계닷컴(www.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