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낮에는 밭에서 농사일에 매진하고 밤에는 문해(文解) 교실에서 글을 배우며 주경야독하는 초보 시인의 시(詩)입니다.
초등학생이 쓴 것처럼 삐뚤어진 글씨지만 사물을 바라보는 시선, 한글을 대하는 마음 그리고 그 시선과 마음을 표현하는 기교가 매우 뛰어나고 따뜻한 훌륭한 시입니다.
이 훌륭한 시보다 더 놀라운 것은 작가 정을순 씨는 80세를 넘겨서야 한글을 배우기 시작한 할머니라는 것입니다.
단 한 개의 글자도 읽지 못했던 세월, 그 세월 끝에 글을 배우고 주변을 바라보니 한글에 둘러싸여 살아왔음을 깨닫게 된 감동과 기쁨이 절묘하게 표현된 이 시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실시한 대국민 투표에서 최우수상을 받았습니다.

80년의 세월 동안 할머니의 마음에 무엇이 채워져 있는지 알지 못했습니다. 그러한 마음속에 한글 하나가 더해지자 이렇게 아름다운 깨달음으로 세상에 태어났습니다.
당신의 마음속에 그 어떤 아름답고 귀한 것이 들어있는지 당신 자신조차 깨닫지 못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팔순 넘긴 시인 할머니도 찾을 수 있었던 그것을 찾기 위해 노력해 봅시다. 노력에는 한계가 없습니다.
# 오늘의 명언 배움이란 평생 알고 있었던 것을 어느 날 갑자기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 도리스 레싱 –
|